[뉴스현장] 위험한 집착 '스토킹'…'우울증 갤러리' 차단 논란<br /><br /><br />지난해 검거된 스토킹 피의자가 무려 1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이 중에서 40대 이상 피의자가 절반 이상인데요.<br /><br />젊은 층뿐 아니라 중장년층에서도 스토킹 범죄가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, 중장년층은 상대적으로 범죄 피해 신고에도 익숙하지 않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그 이유가 뭔지, 대책은 없는 건지,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봅니다.<br /><br /> 스토킹 범죄, 젊은 층뿐만이 아니라 중장년층, 노년층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. 보통 스토킹 범죄라고 하면 젊은 층에서 많이 일어난다, 이렇게 생각하고 있잖아요?<br /><br /> 중장년층의 스토킹 범죄 비율이 적지 않은 이유,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실제로 얼마 전에도 60대 남성이 전 연인을 살해한 혐의로 중형을 선고받은 사건이 있었는데요. 피해 여성이 사망 전 이 남성을 스토킹 범죄로 신고했었다고요?<br /><br /> 그런데 문제는 중장년, 노년층 스토킹 피해자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고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입니다. 이건 왜 그런 건가요?<br /><br /> 나이와 관계없이, 스토킹 범죄 자체의 문제도 크지만 2차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우려가 많은 것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 그래서 계속 처벌 수위를 높여야 한다, 이런 목소리가 나옵니다. 신당역 스토킹 살인범 전주환의 경우, 1심 재판에서 스토킹 혐의로 징역 9년을 보복 살인 혐의로 40년을 선고받았습니다. 그런데 전주환은 항소를 했다고요?<br /><br /> 앞서 60대 남성의 스토킹 후 살해, 신당역 스토킹 살인범 전주환의 경우만 보더라도 피해자가 스토킹 이후 이어지는 가해자의 행동을 혼자서 감당하기는 어렵고요. 또 생명을 위협하는 중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…일련의 사건을 이후, 스토킹 범죄에 대한 신변 보호는 제대로 되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여가부와 경찰이 올 하반기부터 스토킹 피해 예방과 피해자의 안전 보호, 지원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이 내용 보셨습니까? 어떻게 평가하세요? 스토킹 피해, 2차 범죄를 예방할 방안이 될까요?<br /><br /> 또 다른 사건 짚어봅니다. 지난달, 강남의 한 건물에서 10대가 극단적 선택을 생중계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. 이 10대가 우울증 갤러리에서 활동했다는 게 알려지면서 파장이 컸는데요. 사고 발생 직전까지 함께 있었던 20대 남성이 입건됐죠?<br /><br /> 이 우울증갤러리에서 활동하는 이용자들이 만든 모임 '신대방팸'의 경우에는 미성년자 성착취 의혹도 나옵니다. 여기에 대한 수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이 갤러리에서 과거에도 비슷한 일들이 반복돼왔다는 증언도 있습니다. 철저한 수사가 필요해 보입니다. 범죄 유형을 보면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 또 N번방 사건과 비슷한 형태인데요. 지속적인 위장 수사가 필요하단 지적도 있는데, 효과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경찰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우울증갤러리 차단을 요청했지만, 방심위가 보류 결정을 내렸어요. 이걸 놓고 폐쇄해야 한다, 무작정 폐쇄가 답은 아니다, 의견들도 엇갈리고 있거든요. 범죄심리 전문가의 입장에서, 폐쇄 여부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